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그간 국제무대에서 주목받았던 다른 한국 작가들도 조명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한국 문학의 위상이 부쩍 높아진 데는 번역의 힘이 컸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어떤 이야기인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 작가들이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중반입니다. <br /> <br />가장 기대를 모았던 작가는 바로 고은 시인인데요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화면이 2011년 10월, 고은 시인 자택입니다. <br /> <br />수상자를 발표할 때마다 당시 집 앞에서 취재진이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죠. <br /> <br />노벨상은 공식적으로 후보를 공개하지 않지만 수상자를 점치는 배팅사이트에서는 자주 순위권에 오르곤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우리말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작가 본연의 정서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잇따랐고, 번번이 수상에는 실패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번역이 작가 역량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에 정부와 민간이 함께 체계적인 지원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그 뒤로 한국 문학,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노벨문학상과 함께 국제적 권위를 인정받는 부커상에서 한국 작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한강 작가가 '채식주의자'로 국제상을 받은 데 이어 최근 3년 동안 한국 작가가 최종 후보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는데요. <br /> <br />황석영 작가는 한반도 백 년 역사를 조명하는 신간 '철도원 삼대'로 올해 최종 후보에 올랐고 <br /> <br />지난해에는 천명관 작가가 장편소설 '고래'로, 2022년에는 정보라 작가가 SF·호러 소설집 '저주토끼'로 최종 후보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수상에는 실패했더라도 각 작품은 다른 국제무대에서 수상과 호평을 이어가며 한국 문학의 위상을 높였는데요. <br /> <br />그동안 아쉬움이 많았던 '번역의 벽'을 넘으면서 한국 문학이 이제는 세계 문학계 주류에 입성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번역을 딛고 마침내 노벨상을 거머쥔 한국 문학, 다른 수상자도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? <br /> <br />앵커ㅣ조진혁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1109291867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